목록보기
제 목 : 제15과 속회공과 자료입니다. |
조회수 : 2823 |
작성자 : 박행신 |
작성일 : 2003-04-09 |
■ 15과 무너지는 공동체
■ 에스겔 8:1~18
그리스도인들은 눈에 보이는 우상을 만들어 놓고 절하지 않는다. 그러나 교회나 그리스도인의 마음속에는 여전히 우상숭배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오늘은 무상에 대한 올바른 신앙적 자세에 대해 배우도록 한다.
1. 투기의 우상이란 무슨 뜻인가? (3절)
◐ 그가 손 같은 것을 펴서 내 머리털 한 모숨을 잡으며 주의 신이 나를 들어 천지 사이로 올리시고 하나님의 이상 가운데 나를 이끌어 예루살렘으로 가서 안뜰로 들어가는 북향한 문에 이르시니 거기는 투기의 우상 곧 투기를 격발케 하는 우상의 자리가 있는 곳이라
투기의 우상이란 하나님께서 투기를 일으킬 수밖에 없는 우상을 말한다. 아마 이 우상은 바알이나 아세라 신상이었을 것이다. 가난안 땅에 들어간 이스라엘 백성들은 그 땅을 개혁하도록 부르심을 받았다. 그러나 그들이 하나님과 바른 관계를 맺지 못했을 때 그들은 가나안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치기는커녕 오히려 그 가나안 땅의 우상들에 의해서 영향을 받은 것이다.
롬12:2의 말씀대로 우리는 이 세대를 본받지 않고, 세상을 변화시켜야 할 사망을 가진 사람들이다. 그러나 하나님과 바른 관계를 맺지 못할 때 세상에 영향을 끼치기는커녕 세상에 의해서 영향을 받게 되는 것이다.
2. 우상 앞에서 손에 향로를 들고 서 있는 이스라엘의 장로들은 몇 명인가? (11절)
◐ 이스라엘 족속의 장로 중 칠십인이 그 앞에 섰으며 사반의 아들 야아사냐도 그 가운데 섰고 각기 손에 향로를 들었는데 향연이 구름 같이 오르더라
칠십 명의 장로는 이스라엘의 지도자들이다. 이 구조는 나중에 70명으로 구성된 산헤드린 공의회로 발전한다. 그리고 야아사냐는 이들의 지도자였을 것이다. 그들이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가? 10절을 보면 ‘각양 곤충과 가증한 우상’을 숭배를 하고 있다. 왜 이런 우상 숭배를 하고 있는가? 지금 유다는 바벨론에 포로가 되어 있다. 그래서 이스라엘의 영적 지도자들은 애굽의 도움을 기대하고 있다. 이 곤충의 우상들은 애굽사람들이 섬기는 우상이다. 그러므로 이들은 하나님을 섬기고, 하나님께 마음을 바라보기 보다는 인간적인 방법으로 통해서 길을 열버 보라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는 길이 없다.
3. 여인들이 앉아 무엇을 위하여 애곡하는가? (14절)
◐ 그가 또 나를 데리고 여호와의 전으로 들어가는 북문에 이르시기로 보니 거기 여인들이 앉아 담무스를 위하여 애곡하더라
여인들이 앉아서 애곡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먹을 것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들은 담무스 신에게 곡식과 체소를 구하고 있는 것이다. 지금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의 심판을 받아서 나라를 훼파되고, 백성들은 온 땅에 흩어지고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 갔으며, 먹을 양식조차 없는 상태가 되었다. 이런 상태에서 그들은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노력을 하지 않는다. 그들에
"